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Server] 리눅스(Linux) vs 윈도우(Window) 서버 비교
    IT/서버 2023. 6. 15. 09:27

     

     

     

    서버 운용 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두 가지 OS에 대해 정리해보겠다.

     

     

    📑 리눅스

     

    리눅스는 대형 기종에서만 작동하던 OS인 유닉스를 개인용 컴퓨터에서도 작동할 수 있게 만든 OS이다. 즉) 파일 구성이나 시스템 기능의 일부는 유닉스를 기반으로 하면서, 핵심 커널 부분은 유닉스와 다르게 작성된 새로운 시스템이다. 리눅스는 인텔, IBM, 구글, 삼성전자 ,,,등 현재 전세계적으로 많은 기업에서 사용되고 있다. 

     

     

    📌 리눅스 서버 특징

     

    1. 소스 코드를 무료로 공개하는 '오픈 소스'이다. 

    윈도우는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라이선스를 구매해야 사용이 가능한 반면, 린구스는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이용하는 데 있어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자유 라이선스이다. 따라서 누구든지 리눅스의 서버 소스 코드를 다운받아 자유롭게 수정하거나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이런 개방성과 높은 자유도 덕분에 전세계의 프로그래머/해커와 같은 우수 인력들을 통해 점점 더 발전되고 있으며, 업그레이드 속도가 매우 빠르다. 

     

     

    2. 운영체제의 자유도에 의해 발생되는 보안성

    : 윈도우는 운영체제 내 소스코드의 저작권이 MS사에 있어 일반적으로 소스 수정이 불가능하다. 이로 인해 윈도우에 취약점이 발생하였을 때, MS사에서 패치가 나오지 않으면 그 안전을 보장받을 수 없다. 반대로 리눅스는 소스가 공개되어있기 때문에 취약점이 노출되었더라도 비교적 빠른 보안 업데이트가 진행될 수 있다. 하지만 공개 SW 특성상 소스를 분석하여 취약점을 노출시키는 악의적인 사용자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점이 리눅스의 보안성이 약하다고도 볼 수 있다. 

     

     

    3. 서로 다른 여러 배포판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선택권이 주어진다.

    : 사용자들이 자신에게 필요한 분야에 적합하다 생각되는 배포판을 구해서 설치함으로써 사용자 환경에 맞는 서버를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리눅스의 각 배포판들은 시스템 관리 바식, 구성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의 종류나 범위에 따라 차이가 있다. 리눅스의 여러 배포판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는 레드햇, 데비안, 슬랙웨어가 있다. 

     

     

    4. 공개 소프트웨어 중 GPL을 채택하고 있다. 

    : 리눅스 라이선스는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GPL : General Public License)'를 따르는데, 이 조항에 따르면 리눅스는 수정이 가능한 소스코드를 배포해야 하며, 수정된 소스코드는 반드시 같은 라이선스로 배포해야 하는데, 이 라이선스는 카피레프트라고도 불린다. 

     

     

    5. 다중  사용자, 다중 프로그램, 다중 스레드를 지원한다.

    : 많은 사람들이 하나의 리눅스 시스템에 접속하여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습니다. 

     

     

    6. 문자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Console 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 CUI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실행이 되면서 서버가 동작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리눅스 서버는 윈도우 서버에 비해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 사용자들이 리눅스에 적응하고 이를 적절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학습 및 숙련이 수반되어야 한다. 리눅스에 명령어를 입력하려면 명령어 공부를 해야되기 때문이다. 즉) 실무적으로 보았을 때, 리눅스의 가장 큰 단점은 일반인들의 사용성에 대한 접근 장벽이라고 할 수 있다. 

     

     

    7. 리눅스 자체가 C언어로 개발되어 있기 때문에, 거의 모든 언어와 호환이 가능하다. 

    : 따라서 C++, JAVA, PHP, Python....등의 언어들도 리눅스 환경에서 쓰일 수 있다. 또한 리눅스 운영체제는 대부분의 DB를 지원한다. 예를들어 오라클, maria DB, DB2등을 모두 지원한다. 다만 예외적으로 MS사에서 만든 MSSQL만은 지원하지 않는다. 

     

     

    📑 윈도우

     

    📌 윈도우 서버 특징

     

    윈도우 서버는 2003년 마이크로소프트사에 의해 개발된 서버로, 윈도우의 책임 기관은 마이크로소프트이다. 

     

    1. 유료

    : 윈도우 서버는 서버를 구성하는 장비나 서버 프로그램 자체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리눅스 서버와는 다르게 대가를 지불하고 이용한다는 점에서 가격 경쟁력은 떨어진다.

     

     

    2. 마이크로소프트 사에서 비용을 투자해 개발과 점검 과정을 거치기에 안전성이 뛰어나다.

    :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전문적인 보안 솔루션을 받으며 시리즈 별로 단계를 거쳐서 나오기 떄문에, 기존에 분석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3. 폐쇄적 시스템

    : 윈도우 서버는 오픈 소스인 리눅스 서버와는 다르게 클로즈드 소스의 형태를 지니고 있다. 클로즈드 소스라는 측면에서 윈도우 서버의 특징을 살펴보자면, 만약 윈도우 서버에 문제가 생겼을 때 개발자인 마이크로스프트가 이 문제를 해결해주지 않는다면, 다음 단계로 진행될 수 없다. 그래서 윈도우는 보안이 좋은 대신, 취약점이 발견되면 MS사의 해결을 기다려야 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MS사에서 윈도우에 빠르게 보안 업데이트를 제공하여 서버를 운영하고 관리하는데 편의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보완이 가능한 단점이라고 할 수 있다. 

     

     

    4. 뛰어난 호환성

    : 현재 개인용 PC의 약 90%는 윈도우 서버가 차지하고 있다. 즉) 대부분의 PC에서 윈도우를 사용하는 만큼 윈도우는 일반 사용자들에게 접근성이 용이하고 게임, 학원 인강, 재고 관리 프로그램, 치과 수급 프로그램 등등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는 서버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사기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5.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제공

    : 쉽게 말해 윈도우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인터넷이 열리는 서버 환경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통해 윈도우는 비주얼적인 측면과 사용자 편의를 위한 멀티태스킹 능력이 뛰어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참고]

    https://blog.naver.com/softmate1/222704246399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