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네트워크
-
[네트워크] 1. 네트워크와 케이블 (LAN, 이더넷, MAC, 캐스트, OSI 7 Layer) - 후니의 쉽게쓴 시스코 네트워킹IT/네트워크 2024. 8. 22. 14:12
📑 LAN(Local Area Network) 이란? LAN은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 어느 한정된 공간에서 네트워크를 구성한다는 것이다.예를 들어 한 사무실 컴퓨터가 30대 있는데, 이것을 네트워크로 구성한다면 '사무실에 LAN을 구축한다'라고 말한다. LAN과 비교되는 말로 WAN이 있는데 'Wide Area Network'의 약자로서 멀리 떨어진 지역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요즘 모두 인터넷을 쓰는 세상이니 인터넷에 접속하는 것은 WAN이라고 봐야된다. 그래서 요즘은 네트워킹을 한다고 하면 주로 LAN과 WAN이 공존한다. 📑 이더넷(Ethernet)이란? 이더넷은 네트워킹의 한 방식이다. 즉) 네트워크를 만드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더넷 방식의 가장 큰 특징은..
-
[네트워크] 쿠키, 세션, 캐시 정의와 차이점 알아보기IT/네트워크 2022. 10. 9. 17:27
아래 HTTP의 특징에서 Stateless 무상태라는 특징이 있었다. 이는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가지지 않는 서버 처리 방식으로, 클라이언트와 첫 번째 통신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았다 해도, 두 번째 통신에서 이전 데이터를 유지하지 않는다. 하지만 실제로 데이터 유지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예를들어 쇼핑몰에서 정보가 유지되지 않으면 상품을 살펴보다 장바구니로 이동, 장바구니에서 결제페이지로 이동할 때 매번 로그인을 다시해야 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우리는 쿠키와 세션을 사용한다. 그 정의와 차이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https://wonisdaily.tistory.com/109 [네트워크] HTTP란? (특징, 구조, 상태, 메시지) 📑 HTTP란? HyperText Transfer..
-
[네트워크] HTTP 상태코드 정리IT/네트워크 2022. 10. 7. 13:05
📑 상태코드란 ? 상태코드는 클라이언트가 보낸 요청의 처리 상태를 응답에서 알려주는 기능이다. 코드가 의미하는 기능을 대표적으로 적어보면 아래와 같다. 📌 1xx ( Informational) : 요청이 수신되어 처리중, (거의 사용하지 않음) 📌 2xx ( Successful) : 요청 정상 처리 📌 3xx ( Redirection) : 요청을 완료하려면 추가 행동이 필요 📌 4xx ( Client Error) : 클라이언트 오류, 잘못된 문법등으로 서버가 요청을 수행할 수 없음 📌 5xx ( Server Error ) : 서버 오류, 서버가 정상 요청을 처리하지 못함 📑 2xx - 성공 📌 200 : OK 📌 201 : Created 📌 202 : Accepted 📌 204 : Not Content ..
-
[네트워크] HTTP 메소드 (GET, POST, PUT, PATCH, DELETE)IT/네트워크 2022. 10. 7. 11:06
웹개발자로 취준을 하다보면 자격 요건에 RESTfuls API 사용 경험, 개발 가능이 많이 보인다. REST에 대한 정의가 궁금해 따로 포스팅해둔 적이 있다. 이때는 많은 부분이 이해가 되지 않았었는데 하나씩 개념이 쌓여갈수록 점점 머릿속으로 들어오는 기분이다. 지금까지 REST에 GET, POST, PUT, DELETE를 대부분 사용하는 줄 알았는데 아니었다.!!!!! PUT보단 PATCH라니! 지금부터 HTTP Method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 REST와 HTTP에 대한 내용은 참고! https://wonisdaily.tistory.com/82 [server] REST, REST API, RESTful 정의, 특징, 사용법 REST에 대해 알아보기 전 알아보고 난 후 스프링 MVC 프로젝트를..
-
[네트워크] HTTP란? (특징, 구조, 상태, 메시지)IT/네트워크 2022. 10. 6. 23:46
📑 HTTP란?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텍스트 기반의 통신규약이다.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규약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모든 프로그램이 이 규약에 맞춰 개발해서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되었다. HTTP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하나씩 살펴보려고 한다. 📌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 무상태 프로토콜(stateless), 비연결성 📌 HTTP 메시지 📌 단순함, 확장 가능 📑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개념적으로 분리했다.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통해 어떤 서비스를 url을 통하거나 다른 것을 요청(request)하면 서버에서는 해당 요청사항에 맞는 결과를 찾아서 클라이언트에게 응답(response)하..
-
[네트워크] IP, TCP/UDP, URI 인터넷 프로토콜 살펴보기IT/네트워크 2022. 10. 6. 15:41
컴퓨터는 어떻게 통신하는걸까?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하면 복잡한 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되는데 IP, TCP/UDP, PORT, DNS, URI 등 관련 용어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정리 내용은 인프런의 김영한 강시님 강의를 토대로 작성된다. 📑 IP 란? IP는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osi 7계층 중, 3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IP는 서로 다른 운영체제 등을 쓰는 다양한 컴퓨터들이 서로 통신할 때 사용하는 약속된 데이터 이동 간의 규약이다. IP 주소를 통해 컴퓨터(서버)간 데이터 전송이 이뤄지게 되는데 100.100.100.1 이렇 식으로 컴퓨터의 고유 주소를 의미한다. 즉) 메시지가 목표로 하는 컴퓨터에 잘 도착하도록 해주는 역할로 패킷(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