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
컨테이너(Container) , 쿠버네티스(Kubenetes), 오픈시트(Openshift differences) 차이점IT/서버 2023. 7. 30. 20:24
📑 컨테이너란? 컨테이너는 격리된 애플리케이션 런타임 환경이다. 오버헤드가 가상화보다 적다. 서버의 자원 활용 효율성을 높이려면, 하나의 서버에서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이 좋다. 이때 애플리케이션들은 다른 애플리케이션에게 영향을 주지 않도록 격리되어야 한다. 컨테이너는 바로 격리된 런타임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컨테이너는 (가상화 VM과는 달리), 별도의 OS를 구동하지 않기 때문에 오버헤드가 더 적다. 오버헤드가 적은 많큼, 더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도 있다. 컨테이너는 런타임이 수백 수천개로 늘어나면 관리의 복잡도가 증가한다. 이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시스템이 필요하다. 쿠버네티스가 바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시스템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 컨테이너 애플리..
-
VM(가상머신)과 Container(컨테이너)의 차이IT/서버 2023. 7. 30. 18:33
컨테이너 엔진이 바로 도커이다. 📑 컨테이너와 가상 머신이란? 컨테이너 및 가상 머신은 애플리케이션을 IT 인프라 리소스로부터 독립적으로 만드는 기술이다. 📌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의 코드, 라이브러리 및 기타 종속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코드 패키지이다. 컨테이너화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이동 가능하도록 만들어 모든 디바이스에서 동일한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 가상 머신은 물리적 머신의 디지털 사본이다. 동일한 호스트 운영체제에서 고유한 개별 운영체제가 실행되는 여러 가상 머신을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이 포함된 가상 머신을 생성할 수 있다. 📑 컨테이너와 가상 머신은 어디에서 사용되나요? 컨테이너와 가상 머신은 모두 배포 기술이다. 소프트웨어 ..
-
[CLOUD] Iass vs Paas vs SaasIT/클라우드 2023. 7. 23. 13:52
각 차이점에 들어가기 앞서 클라우드 컴퓨팅에대해 먼저 정리해보려 한다. 📑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스토리지,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등의 IT 자원들을 사용자가 소유하지 않고 통신망/인터넷을 통해 제공하여 소비자가 필요한 만큼 빌려쓰고,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서비스 방식을 말한다. 즉) 인터넷 상의 가상화된 서버에 프로그램을 두고 필요할때마다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에 불러와 사용하는 서비스이다. 클라우드(Cloud)라는 단어가 말해주듯, 인터넷 통신망 어딘가에서 구름에 싸여 보이지 않는 컴퓨팅 자원(CPU, 메모리, 디스크 등)을 원하는 대로 가져다 쓸 수 있다. 장점으론 다음과 같이 3가지가 있다. 📌 1. 서버를 직접 구매할 때 고려해야 할 전력, 위치, 확장설을 고민하지 않아도 된다. ..
-
[Server] 리눅스(Linux) vs 윈도우(Window) 서버 비교IT/서버 2023. 6. 15. 09:27
서버 운용 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두 가지 OS에 대해 정리해보겠다. 📑 리눅스 리눅스는 대형 기종에서만 작동하던 OS인 유닉스를 개인용 컴퓨터에서도 작동할 수 있게 만든 OS이다. 즉) 파일 구성이나 시스템 기능의 일부는 유닉스를 기반으로 하면서, 핵심 커널 부분은 유닉스와 다르게 작성된 새로운 시스템이다. 리눅스는 인텔, IBM, 구글, 삼성전자 ,,,등 현재 전세계적으로 많은 기업에서 사용되고 있다. 📌 리눅스 서버 특징 1. 소스 코드를 무료로 공개하는 '오픈 소스'이다. 윈도우는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라이선스를 구매해야 사용이 가능한 반면, 린구스는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이용하는 데 있어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자유 라이선스이다. 따라서 누구든지 리눅스의 서버 소스 코드를 다운받아 자유롭게 수..
-
[MSA] MSA란? 개념과 특징IT/CS지식 2023. 1. 25. 10:41
📑 MSA란? MicroService Architecture의 줄임말이다. 마이크로서비스는 애플리케이션을 느슨하게 결합된 서비스의 모임으로 구조화하는 서비스지향 아키텍쳐(SOA) 스타일의 일종인 소프트웨어 개발 기법이다. 더보기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ervice Oriented Architecture(SOA)) 란? - 애플리케이션 구성요소가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다른 구성요소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키텍처 접근 방식 - 대규모 컴퓨터 시스템을 구축할 때의 개념으로 업무상에 일 처리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 기능을 서비스로 판단하여 그 서비스를 네티워크 상에 연동하여 시스템 전체를 구축해 나가는 방법론 - 여기서 서비스는 기능의 독립적 단위이다. 📑 MSA 등장 배경 Monolithic Architectur..
-
[IT용어] SSR vs CSR (서버사이드렌더링, 클라이언트사이드렌더링?)IT/CS지식 2022. 11. 25. 11:51
📑 브라우저 렌더링이란? 브라우저 렌더링이란, 브라우저가 서버로부터 요청해 받은 내용을 브라우저 화면(view)에 표시해주는 작업을 말한다. 즉) 브라우저가 서버로부터 HTML, CSS, JavaScript 문서를 전달받아 브라우저 엔진이 각 문서를 해석해 브라우저 화면을 그려주는 것이다. 브라우저 렌더링 방식엔 서버사이드렌더링, 클라이언트사이드렌더링 2가지가 있는데 하나씩 알아부도록 하자. 📑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client side rendering) :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은 클라이언트인 브라우저가 렌더링을 처리하는 방식이다. 즉) 서버에서 받은 데이터를 통해 클라이언트인 브라우저가 화면(view)을 그리는 주체가 되는 것이다. 📌 장점 : 네이티브 앱과 비슷한 빠른 인터렉션을 구현할 수 ..
-
[Web] 서블릿(Servlet)이란? (+서블릿 컨테이너, 생명주기)IT/CS지식 2022. 10. 11. 01:02
📑 서블릿(Servlet)이란? 서블릿이란 Dynamic Web Page를 만들 때 사용되는 자바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기술이다. 웹을 만들 때 다양한 요청(Request)와 응답(Response)이 있기 마련이고 이 요청과 응답에는 규칙이 존재한다. 서블릿은 이러한 웹 요청과 응답 흐름을 간단한 메서드 호출만으로 체계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해주는 자바 웹 프로그래밍 기술이다. 서블릿을 지원하는 WAS를 사용하면 서버에서 처리해야 하는 업무가 확연하게 줄어드는 걸 확인할 수 있다. 개발자는 그저 비즈니스 로직만 개발하면 되는 것이다. 서블릿은 자바 클래스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한 뒤 웹서버 안에 있는 웹 컨테이너에서 이것을 실행하고, 웹 컨테이너에서는 서블릿 인스턴스를 생성한 후 서버에서 실..
-
[web] Web Server와 WAS 차이점, 동작과정 알아보기IT/CS지식 2022. 10. 9. 22:30
📑 Static Pages와 Dynamic Pages 웹서버와 WAS의 차이를 알아보기 전에 정적페이지와 동적페이지에 대해 짚고 넘어가려한다. 🎃 Static Pages : Web Server는 파일 경로 이름을 받아 경로와 일치하는 file contents를 반환한다. 항상 동일한 페이지를 반환한다. ex) image, html, css, javascript 파일과 같이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이 대표적이다. 🎃 Dynamic Pages : 인자의 내용에 맞게 동적인 contents를 반환한다. 웹 서버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통해 만들어진 결과물 ex) servlet 📑 Web Server란? 📌 개념 :웹 서버는 소프트웨어랑 하드웨어로 구분되는데 하드웨어는 web 서버가 설치되어 있는 컴..